과일 활용하고 반드시 현미 먹기
무염식을 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현미도 날 것으로, 채소도 날것으로 먹는 것입니다. 생현미식물식입니다.
지금까지 소금에 길들여진 사람이 싱겁게 먹기란 정말 힘듭니다. 피나는 노력을 해야 합니다. 그렇다면 소금 간을 하지 않고도 음식을 편하게 먹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질 좋은 유기농식품 먹기
첫째, 식품 자체가 싱겁지 않아야 합니다. 그러려면 농산물이 좋아야 됩니다. 기르는 방법에 따라 농산물이 싱거워집니다. 제대로 기르면 농산물에 간도 되어 있고 향도 강합니다. 그래서 소금 간을 하지 않고도 먹을 수 있습니다.
좋은 농산물이란 자연 상태의 농산물입니다. 화학비료나 농약도 쓰지 않은 것입니다. 그러려면 자기가 직접 길러서 먹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구하기가 힘들겠죠.
다음으로 좋은 것이 유기농산물입니다. 그런데 요즘은 유기농이라고 해도 비닐하우스에서 빨리 키웁니다. 화학성분은 아니지만, 비료도 많이 줍니다. 그래서 조금 싱겁지만, 요즘엔 어쩔 수가 없습니다.
가장 안 좋은 것은 일반농산물입니다. 화학비료도 주고 농약도 쳐서 빨리 키운 겁니다. 아주 싱겁습니다. 싱거우니까 소금을 치게 되는 겁니다.
과일, 양념채소 활용하기
소금을 안 쓰고 싶다면 양념채소를 적절하게 활용해야 합니다. 양념채소라는 것은 매운 맛 나는 마늘, 양파 같은 것을 말합니다. 채수를 우려낼 때 사용하는 식품을 활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다시마, 표고버섯이 있습니다.
이렇듯 소금 없이도 맛있게 먹을 수 있는 요리법을 배워야 합니다. 그런 방법은 관심만 있으면 얼마든지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과일을 적절하게 사용해보십시오. 그러면 소금을 사용하지 않고도 맛있게 먹을 수 있습니다.
레몬처럼 신맛이 나는 과일, 단맛이 나는 과일도 소금을 안 먹는 데 도움이 됩니다. 그리고 과일 껍질을 활용하면 훨씬 맛이 강해집니다. 과일 껍질에는 강한 맛과 향이 나는 것들이 들어있습니다. 과일을 먹을 때 껍질을 버리지 말고 활용해보십시오.
반드시 백미 아닌 현미 먹기
백미는 싱겁습니다. 현미는 간이 되어 있습니다. 백미로 만드는 과정에서 벗기는 속껍질에 간 성분이 있습니다. 나트륨, 칼슘, 마그네슘이 들어있습니다. 그래서 밥은 백미가 아니라 현미를 드셔야 합니다.
하지만 이런 방법들을 써도 완벽하진 않습니다. 어쨌든 가장 중요한 것은 생각과 습관을 변화시키는 것입니다. 소금 간을 일체 하지 않은 식품을 드셔야 합니다. 또 간을 하지 않아도 맛있게 먹는 방법들을 활용해야 합니다.
이렇게 한 2주 정도만 참아보십시오. 참으면 소금에 대한 식성이 달라집니다. 그렇게 익숙해진 후 짠 걸 먹으면 굉장히 자극적입니다.
그리고 채소는 날것으로 먹어야 합니다. 채소를 삶아버리면 싱거워집니다. 그래서 반드시 간을 하게 되어 있습니다. 채소를 삶지 말고 날것으로 먹으면 소금 사용량을 훨씬 줄일 수 있습니다.
무염식도 가능할 것입니다. 무염식을 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현미도 날 것으로, 채소도 날것으로 먹는 것입니다. 생현미식물식입니다.
생현미현물식은 소금을 안 먹는 것이 훨씬 자연스럽습니다. 소금을 곁들여서 먹는 것은 전혀 어울리지 않습니다. 거부감도 많이 생깁니다.
짠 음식을 못 끊어서 고생하는 분들은 여러 가지 방법을 써보면서 2주 정도 참고해 보십시오. 우리 사람 몸은 2주 후에 바뀌게 됩니다.그러면 소금을 안 먹고도 굉장히 맛있다는 느낌을 알 수 있습니다.
황성수 박사님 안녕하세요.
저는 혈압이 150/90인 대학생입니다. 혈압이 높고, 맥압도 높아서 걱정이었는데, 군복무를 하면서 우연히 박사님을 알게되었습니다. 평소 저의 식습관(과식, 짜게 먹기)이 문제가 있다는 걸 인식하고 있었어서, 박사님의 책과 영상은 저에게 큰 깨달음을 주셨습니다.
현재는 전역을 해서, 현미채식을 할 수 있는 환경이 되어 현미채식을 시작해볼까 합니다.
그런데 이렇게 댓글을 쓰는 이유는 다름이 아니라, 박사님(혹은 힐링스쿨)의 수면시간이 궁금해 서입니다. 사실 군대에서 박사님을 알게 된 계기는 실제로 현미채식을 해보신 지휘요원 분이 알려주셔서였는데요, 그 분께서 현미채식을 극찬하시면서, 장점 중 하나로 잠을 적게 자도 정신이 맑다라고 하셨던 게 기억이 나서요!
사람이 건강하기 위해서는 식사, 수면, 운동 이 세가지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데, 실제로 현미채식을 하면 그런 효과(정신이 맑아지는)가 있는지, 박사님(혹은 힐링스쿨 교육생)은 현미채식을 하면서 몇 시간을 주무시는지 궁금해졌습니다.
또한 이건 제가 헬스에 관심이 많아서 여쭙는 것인데, 요즘 운동하시는 분들이 자주 먹는 단백질 보충제에 대한 박사님의 견해(이미 알 것 같지만..)가 궁금합니다. 또한 현미채식 식단만으로도 운동하는 분들의 몸을 따라갈 수 있을까 궁금합니다.(운동을 열심히 한다는 가정하에..)
요약하자면,
1. 박사님의 수면
2. 운동과 관련하여 현미채식
이 두가지가 제 질문입니다.
지금은 자격증 시험을 준비하고 있어 힐링스쿨에 참여는 못하지만 19년도 7월에 시험이 끝나는 대로 힐링스쿨을 신청하여 제대로 된 교육을 받아보고자 합니다. 그때까지도 저도 제 나름대로 현미채식을 해보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는 밤 10시에 잠자리에 들어서 다음날 아침 6시까지 잠자는 것을 원칙으로 정해 놓고 있습니다. 그러나 여러 가지 사정으로 지켜지지 않습니다. 보통 7시간에서 7시간 30분 정도 잠을 잡니다. 피곤하면 9시나 그 이전에도 잠자리에 들기도 합니다. 힐링스쿨의 수면규칙도 밤 10시전에 잠자리에 들어서 아침 5시 30분까지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정해 놓았습니다. 현미식물식을 하면 머리가 맑아집니다. 잠을 조금 적게 자도 피곤하지 않습니다.
사람에게는 단배길이 적게 필요합니다. 근육을 키우는 운동을 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집니다. 그러므로 단백질이 많이 들어 있는 식품인 동물성식품을 먹으면 안 되고 단백질 보충제도 먹으면 안 됩니다.
단백질을 많이 먹으면 많이 먹지 않는 사람에 비해서 근육이 약간 더 커지기는 하지만 많은 병이 생깁니다. 현미, 채소, 과일을 충분히 먹고 근육운동하면 큰 근육을 만들 수 있습니다
황성수 박사님 안녕하세요…
약2주전 저희 아버지(만67세/남성)가 뇌경색으로 병원에 입원하여 MRI,CT 뇌 혈류량 검사 등등 을 하였습니다. 왼쪽 오른쪽 뇌에 손상이 됐습니다. 왼쪽은 30%정도 오른쪽은 미세하게 광범위하게 손상이 됐습니다. 뇌로 올라가는 경동맥중 3개가 손상이 됐고 1개가 역활을 하고 있다고 담당교수님이 설명을 해주었습니다. 다행히 뇌 혈관을터주는 수술은 하지 않았습니다. 혈류량이 부족하기는 하나 잘 유지해보자고 하시면서 토원을 했고 3일전 재활병원으로 입원을 하였습니다.
고혈압이 있었고, 우울증을 알고계셨습니다. 오른쪽 팔과 다리에 마비가 왔으나 입원후 몇일의 재활로 오른쪽 팔은 조금 회복이 되었습니다. 언어장애가 조금 있습니다.
이런 뇌경색 환자도 현미식과 재활 치료를 하면 병세가 완화가 될런지요….
집에 오래전 사놓은 황박사님 현미식 책을 보다 이렇게 글을 남깁니다. 그리고 진료를 받아보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사님. 현재 저는 키 164.8cm에 몸무게 46kg인 20대 여성입니다.
제가 자연식물식을 시작한 지 6개월 정도 되었네요. 처음에는 몸무게가 60kg 대라 다이어트 할 생각에 과일만 먹으면서 살을 뺐는데 45kg까지 뺐는데도 45kg을 넘기고 싶지 않은 마음에 43kg까지 뺐다가 지금은 현미채식을 하며 46kg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한 가지 문제점이 식물식을 시작하고 몇 개월동안 머리카락이 많이 빠진다는 것입니다. 손으로 머리를 쓸어내릴때마다 몇 뭉치씩 빠집니다.
박사님 영상에서는 적은 양을 먹기 때문이라고 하셨습니다. 그렇지만 저는 한 끼는 (현미밥 500g~600g+깻잎/상추/양배추+파프리카) 또는 고구마 700g 을 먹고 마지막 끼니는 과일 1kg 이상을 먹습니다. 매일 이 정도 양을 먹고 있으며 이보다 더 많이 먹는 날은 있지 덜 먹지는 않습니다. 또한 가공된 음식이나 육류는 전혀 먹지 않고 있습니다. 정말 만족할만큼 배부르게 먹습니다.
이렇게 먹고 근 6개월 간 탈모 현상이 일어나는 것은 체중 때문인걸까요?? 아니면 먹는 양을 더 늘려야하는 것일까요?
자연식물식을 통해 몸이 많이 좋아지고 얻은 것도 많은 터라 이 식이를 평생 계속하고 싶은데 이전보다 심해진 탈모 현상 때문에 많이 속상합니다. 대체 뭐가 문제일까요?
http://healingschool.kr/13175?cat=27
관련 칼럼 링크 첨부하여 드립니다.